2025 주거급여는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 이하인 가구에 임차료(월세)와 자가주택 수선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법은 ‘최저주거기준’을 충족하도록 돕는 걸 목표로 하고, 실제 급여액은 가구원수·지역(급지)·소득 수준·실제 임차료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히 2025년엔 **선정기준이 ‘기준 중위소득의 48%’**로 적용되고, 기준임대료와 수선유지비 상한도 인상되어 체감 지원이 커졌습니다.
법률은 “주거급여 선정기준을 ‘중위소득의 43% 이상’에서 정한다”는 하한선을 두고 있습니다. 다만 **2025년 실제 고시 적용치는 48%**이며, 아래 표처럼 가구원수별 월 소득인정액 기준액이 정해져요. 헷갈렸다가 반려되는 케이스를 많이 봤는데, **2025년은 48%**가 맞습니다.
아래 표 금액(원/월) 이하면 2025 주거급여 선정기준을 충족합니다.
가구원수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7인 |
---|---|---|---|---|---|---|---|
선정기준 | 1,148,166 | 1,887,676 | 2,412,169 | 2,926,931 | 3,411,932 | 3,871,106 | 4,314,445 |
제 경험상, 직장·아르바이트 소득 변동이 있으면 최근 소득이 반영되어 기준 초과로 보일 수 있어요. 연말정산·소득증빙 정리 후 재산·부채·의료비 등 공제 항목을 꼼꼼히 넣으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니,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반드시 사전상담을 받아보세요.
2025 주거급여 임차급여의 상한이 되는 기준임대료는 급지(1~4급지)·가구원수별로 아래와 같습니다(원/월).
구분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1급지(서울) | 352,000 | 395,000 | 470,000 | 545,000 | 564,000 | 667,000 |
2급지(경기·인천) | 281,000 | 314,000 | 375,000 | 433,000 | 448,000 | 531,000 |
3급지(광역·세종·수도권 외 특례시) | 228,000 | 254,000 | 302,000 | 351,000 | 363,000 | 428,000 |
4급지(그외 지역) | 191,000 | 215,000 | 256,000 | 297,000 | 307,000 | 363,000 |
사례 A — 서울 거주 3인 가구, 월세 30만원, 소득인정액 80만원
사례 B — 경기 거주 2인 가구, 월세 60만원, 소득인정액이 생계급여 선정기준 초과
실무 노하우: ‘생계급여 선정기준’은 매년 바뀌므로 올해 수치를 확인하세요.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분이 반영되어 생계급여 선정기준도 올라갔습니다(4인가구 1,951,287원 등). 최신 수치는 보건복지부 공지를 참고하세요.
부모와 다른 시·군 주소로 거주하는 19세 이상 30세 미만 미혼 청년은, 수급가구 내에서 부모와 별도로 임차급여를 분리해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도 동일하며, 청년 명의 임대차계약·전입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해요.
2025 주거급여 수선유지급여는 아래 보수범위·기준금액·주기를 따릅니다. 도서지역(제주 본섬 제외)은 10% 가산. 소득구간에 따라 100%/90%/80% 지원률이 적용됩니다.
구분 | 경보수 | 중보수 | 대보수 |
---|---|---|---|
수선비용(원) | 5,900,000 | 10,950,000 | 16,010,000 |
수선주기 | 3년 | 5년 | 7년 |
1) 어디서 신청?
2) 기본 서류(임차가구 기준)
3) 처리 팁(신청 동행하면서 얻은 노하우)
Q1. 월세가 기준임대료보다 높으면요?
A. 기준임대료까지만 반영됩니다. 소득구간에 따라 자기부담분 공제 후 지급됩니다.
Q2. 등본상 부모와 같은 시·군이면 청년 분리지급이 불가한가요?
A. 원칙은 시·군이 달라야 하지만, 보장기관 판단으로 예외 인정이 가능한 케이스가 있습니다. 실제로 학교·직장 여건 등으로 인정된 사례가 있어요.
Q3. 7인·8인 이상 가구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A. **8인은 ‘7인 기준 + (6인과 7인의 차액)’**을 더합니다. 9인 이상도 같은 방식입니다.
현장에서 가장 많이 보는 상황은 **“나는 안 될 것 같아서 아예 안 해봤다”**는 경우예요. 하지만 2025 주거급여는 선정기준(48%) 상향과 상한 인상 덕분에, 생각보다 더 많은 가구가 대상이 됩니다. 신청은 무료고, 서류 보완이 필요하면 직원분들이 친절히 도와주시니 반드시 자가진단 → 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까지 해보세요. 제가 동행한 분들 중에도 “될 줄 몰랐다”가 첫 지원금을 받고 한숨 돌린 사례가 많았습니다.
본문은 2025년 기준의 최신 고시·안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정책 수치는 지자체 세부 운영에 따라 안내 방식이 소폭 다를 수 있으니, 주거급여 콜센터(1600-0777) 또는 행정복지센터에서 최종 확인하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