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청년 지원금 총정리 글 입니다. 이 글은 2025년 시행된 ‘경기 청년 지원금’의 신청방법에 관하여 작성되어 있으며 청년 기본소득, 청년 면접수당, 청년 노동자 통장을 보기 쉽게 비교하여 정리해 두었고 체크리스트와 자주 하는 실수에 관하여 여러 정보들을 담아놨으니 해당 내용을 잘 활용하셔서 경기 청년 지원금 신청하는데에 도움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2025년 ‘경기 청년 지원금 신청 방법’ 한눈에 보기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 2025년에도 꼭 챙겨야 할 대표 지원금은 청년기본소득,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자산형성) 세 가지입니다.
이 글은 2025년 공고와 안내문을 바탕으로, 자격 요건 → 준비서류 → 신청 절차 → 일정을 순서대로 정리한 신청 가이드입니다.
1. 핵심 요약
- 청년기본소득
- 대상: 만 24세 경기도 청년
- 지원: 분기 25만 원(연 100만 원) 지역화폐
- 요건: 도내 3년 연속 거주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
- 접수: 잡아바 Apply 온라인 신청
- 청년 면접수당
- 대상: 만 18~39세 구직 청년
- 지원: 2025.1.1. 이후 치른 면접당 5만 원, 연 10회(최대 50만 원)
- 지급: 신청 후 60일 이내 지역화폐 지급
- 접수: 잡아바 Apply 온라인 신청
- 청년 노동자 통장
- 대상: 근로 청년(19~39세, 가구 소득 요건 충족)
- 구조: 월 10만 원 24개월 저축 → 만기 현금 480만 원 + 지역화폐 100만 원
- 접수: 경기복지재단 전용 홈페이지
2. 지원금별 비교
| 구분 | 주요 자격 | 지원 규모 | 접수 창구 |
|---|---|---|---|
| 청년기본소득 | 만 24세, 경기도 거주 3년 연속 또는 합산 10년 | 분기 25만 원 (연 100만 원, 지역화폐) | 잡아바 Apply |
| 청년 면접수당 | 만 18~39세, 2025.1.1. 이후 면접 | 면접 1회 5만 원, 연 최대 50만 원 | 잡아바 Apply |
| 청년 노동자 통장 | 경기도 거주 근로 청년(가구 소득 요건) | 월 10만 원×24개월 → 480만 원 + 지역화폐 100만 원 | 경기복지재단 |
3. 청년기본소득 신청 방법
가. 자격 조건
- 나이: 신청 분기 기준 만 24세
- 거주: 경기도 내 3년 연속 또는 합산 10년 이상
- 일부 시(예: 고양·성남)는 별도 접수 절차 확인
나. 준비서류
- 신분증
- 지역화폐 앱(본인 명의)
- 주민등록 등·초본
- 위임장(대리 신청 시)
다. 신청 절차
- 잡아바 공고 확인
- Apply 로그인 및 본인 인증
- 신청서 작성 및 증빙자료 업로드
- 접수 완료 후 심사 및 지급
라. 2025년 일정 예시
- 1분기: 2025. 3.1 ~ 3.31
- 3분기: 2025. 7.1 ~ 8.11 (고양·성남 제외)
4. 청년 면접수당 신청 방법
가. 자격 조건
- 연령: 만 18~39세
- 면접: 2025.1.1 이후 실시한 일자리 면접
- 거주: 신청일 기준 경기도 거주
나. 지원 규모
- 면접 1회당 5만 원
- 연 최대 10회(50만 원)
- 신청 후 60일 이내 지급
다. 신청 절차
- 잡아바 공고 확인 후 온라인 신청
- 면접확인서, 대체서약서, 안내메일·문자 등 증빙자료 제출
- 심사 후 지역화폐 지급
라. 2025년 접수 일정
- 1차: 2025. 6.18 ~ 7.18
5. 청년 노동자 통장 신청 방법
가. 자격 조건
- 연령: 19~39세(병역 이행 시 연장 가능)
- 거주: 공고일 기준 경기도 거주
- 근로: 재직 중(일부 직종 제외)
- 소득: 가구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 중복: 타 자산형성 사업 참여 이력 제한
나. 지원 구조
- 월 10만 원 저축(24개월)
- 만기 시: 현금 480만 원 + 지역화폐 100만 원
다. 신청 절차
- 경기복지재단 전용 사이트 접속
- 신청서 작성 및 증빙자료 업로드
- 심사 후 선정자 발표
라. 일정
- 매년 회차별 공고 확인 필수
6. 제출 전 체크리스트
- 공통
- 주민등록 등·초본으로 거주기간 확인
- 본인 인증 수단 준비
- 지역화폐 앱 설치
- 은행 계좌 또는 전용 계정 준비
- 청년기본소득
- 만 24세 여부 확인
- 거주요건 충족 증빙 준비
- 청년 면접수당
- 면접 증빙자료(면접확인서·메일 등)
- 면접 횟수(최대 10회) 관리
- 청년 노동자 통장
- 근로 증빙자료 준비
- 가구 소득 확인
- 중복 참여 여부 점검
7. 자주 하는 실수 & 주의사항
가. 기본소득: 일정만 보고 나이·거주요건 누락
나. 면접수당: 교육·훈련 면접, 가족 사업장 면접, 전화·문자 면접은 지원 불가
다. 노동자 통장: 다른 자산형성 사업과 중복 참여 불가
8. 2025년 공고 확인 요령
- 잡아바 → 정책정보 → 일자리지원사업에서 기본소득·면접수당 검색
- 분기 초(3월, 7월)에 공고 여부 확인
- 노동자 통장은 경기복지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9. 빠른 Q&A
Q1. 고양·성남도 잡아바에서 신청하나요?
→ 별도 절차가 있을 수 있어 공고문 확인 필요
Q2. 면접수당 증빙은 회사 직인이 꼭 필요한가요?
→ 대체서약서, 안내 메일·문자 등도 가능
Q3. 노동자 통장은 총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
→ 24개월 납입 시 현금 480만 원 + 지역화폐 100만 원
10. 마무리
- 분기별 신청 시기를 캘린더에 미리 체크하기
- 증빙자료 사전 준비로 심사 지연 방지
- 접수는 반드시 잡아바 Apply(기본소득·면접수당), 경기복지재단 사이트(노동자 통장)에서 진행